-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0
/
Copy pathgit 명영어 모음.txt
73 lines (62 loc) · 2.42 KB
/
git 명영어 모음.t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1. 윈도우에 git 설치하기
네이버 말고 구글에 git 검색 후 다운로드
2. ssh 키 생성하기
윈도우 메뉴에서 git bash 열고
$ cd
실행해서 홈 디렉토리로 이동
$ ssh-keygen
실행하기
3. git clone 하기 위한 준비
git bash 열고
$ cd
실행해서 홈 디렉토리로 이동
프로젝트들을 모아놓을 폴터 하나 만들기
$ mkdir xxxfolder
실행하고 나면 /c/Users/사용자이름/ 위치에 xxxfolder 라는 폴더가 생김
4. 프로젝트 리모트에서 로컬로 가져오는 방법
깃헙 가서 "Code" 클릭, "HTTPS" 클릭 후 https://github.com/ 으로 시작하는 링크 복사하기
깃헙 가서 "Code" 클릭, "SSH" 클릭 후 [email protected]: 으로 시작하는 링크 복사하기
5. git clone 실행하기
git bash 로 가서
$ git clone "4번에서 복사해 온 링크"
여기서 git clone 안 되면
깃헙 우측 상단에 아바타 아이콘 클릭, Settings 클릭, SSH and GPG Keys 클릭 후
그곳에
$ cat ~/.ssh/id_rsa.pub
실행한 결과를 "New SSH Key" 클릭 후 붙여넣기 하면 됨
6. Visual Studio Code 로 방금 복제해온 git 리포지토리 열기
git bash 열어서
$ cd
$ cd xxxfolder <- 3번에서 만든 폴더명
방금 복제해온 git 리포지토리 있는 폴더로 이동 후
$ code .
입력하면 현재 폴더를 vscode 로 열게 됨
7. vscode 익스텐션 설치하기
- Git History
- Git Lens
- Git Graph
- Git Blame
8. 파일 수정 후 저장
9. 사이드바 Source Control 메뉴에서
changes 상태에서 "+" 버튼 눌러서
staged 상태로 만들기
git bash 열어서
$ git commit
실행하고 커밋 메세지 적기
10. Local 리포지토리를 Remote 리포지토리에 올리기
git commit까지 하면 로컬(Local) 리포지토리에만 저장한거
리모트(Remote) 리포지토리에 동기화 해야함
$ git push origin main
이 명령어의 의미는 git push(밀어넣기)를 하는데
리모트는 origin 이고
로컬은 main 이라는 의미.
여기서 main 안 될 경우
현재 로컬 브랜치의 이름이 뭔지 확인해서 적절한 값으로 바꿔주자.
브랜치 이름을 바꾸는 명령어는
$ git branch -M xxxx
실행하면 현재 브랜치 이름이 xxxx 로 바뀐다.
11. Remote 리포지토리를 Local 리포지토리로 가져오기
$ git pull origin main
이 명령어는 git pull(당겨오기)을 하는데
리모트는 origin 이고
로컬은 main 이라는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