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git a/README.md b/README.md index 6e9455e..391644e 100644 --- a/README.md +++ b/README.md @@ -170,6 +170,67 @@ Ncloud의 CLOVA Sentiment를 활용하여 작성된 일기의 감정을 분석
+## FE의 기술적 도전 과제 + +### 3D 뷰 구현 과정 + +- React에서 3D 그래픽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React-Three-Fiber를 사용하면서, 밤하늘에 떠있는 별을 탐색하고 만들어나가는 그러한 과정을 어떻게 자연스럽게 처리할 수 있을지 고민하였습니다. +- 사용자가 마우스로 밤하늘을 드래그하여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컨트롤 방식을 찾아보았습니다. + - [DragControls](https://threejs.org/docs/examples/ko/controls/DragControls.html) + - [FirstPersonControls](https://threejs.org/docs/examples/ko/controls/FirstPersonControls.html) + - [FlyControls](https://threejs.org/docs/examples/ko/controls/FlyControls.html) + - [OrbitControls](https://threejs.org/docs/examples/ko/controls/OrbitControls.html) + - [PointerLockControls](https://threejs.org/docs/examples/ko/controls/PointerLockControls.html) + - [TrackballControls](https://threejs.org/docs/examples/ko/controls/TrackballControls.html) + - [TransformControls](https://threejs.org/docs/examples/ko/controls/TransformControls.html) +- 사용자가 마치 고개를 돌려 밤하늘을 둘러보는 느낌을 주기 위해 OrbitControls를 사용하였습니다. +- 사용자가 밤하늘을 둘러보는 상황에서 밤하늘은 마치 하나의 구와 같기에, sphereGeometry를 활용해 사용자가 구 내부에 위치해있고 이 구의 내부 벽면을 밤하늘로 바라보도록 구현하였습니다. + - sphereGeometry는 많은 segment가 있는 다면체처럼 되어있기 때문에, 이 segment값을 최대한 많이 주어 최대한 부드러운 구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 사용자가 바라보는 건 위쪽 하늘이기 때문에, pi/theta 값을 조정해 반구 아래 부분을 잘라냈습니다. +- R3F의 Mesh객체에서는 onDoubleClick 이벤트를 통해 그 이벤트에서 발생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밤하늘을 더블클릭했을 때, 해당 이벤트에서의 point 정보를 통해 밤하늘의 어느 좌표를 사용자가 바라보고 클릭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Vector3 값으로 얻을 수 있었습니다. + + ```jsx + { + distance: 29.94205148934579, + point: Vector3, + object: Mesh, + uv: Vector2, + normal: Vector3, + … + } + ``` + +- 사용자가 더블클릭한 좌표로 카메라 시점을 자연스럽게 이동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였고, 3가지 방안을 생각해보았습니다. + 1. OrbitControls 자체의 속성 값을 활용해, target을 클릭한 위치로 시점을 이동하는 방식을 구현하는 방식. + 2. raycasting. 카메라 주변에 작은 구를 추가하고, 더블 클릭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작은 구의 충돌 지점 좌표를 시점 target으로 지정. + 3. 카메라 위치 변경은 제어하지 않음. 대신 target을 원점으로 두고 카메라 위치 자체를 작은 위에서 이동. + + 첫번째 아이디어의 경우 React의 useState 및 useFrame을 활용해 target이 유동적으로 바뀌면서 프레임 단위로 카메라를 이동시킬 수 있었으나, target이 별을 기준으로 생성되어 드래그를 통한 이동이 별을 기준으로 실행되고, 별을 생성할 때마다 카메라의 위치가 불규칙하게 변경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했습니다. + + 두번째 아이디어의 경우 target이 변경되어도 카메라 주변의 작은 구 위의 점이 target이 되기 때문에 첫번째 아이디어의 문제점을 크게 줄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시점 변환이 어색한 문제점이 있었고, target 위치 문제 역시 문제점이 아예 사라진 것이 아닌 것이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했습니다. + + 세번째 아이디어는 첫번째, 두번째 아이디어에서 실패한 부분에서 착안하여, 카메라 이동을 고정하고 카메라 시점을 이동하는 로직에서 카메라가 바라보는 target을 고정하고 카메라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로직으로 변경하였고, 이를 통해 기존 두 가지 문제점을 깔끔하게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 + +3D 뷰 구현 과정 개발 일지 + +### API 요청 및 응답에 따른 클라이언트에서의 처리 + +- 백엔드 서버에 일기의 CRUD, 별 모양의 데이터 fetch 등 여러 요청을 보냈을 때 돌아오는 각 응답에 따른 처리에 대해 고민하였습니다. +- 각 요청에 따른 응답이 어떻게 돌아올 지에 대해서 API 문서에 정리를 상세히 하고, 이에 따라 React-Query를 통해 API 요청을 진행하였습니다. +- 각 응답 status code에 따라 case 별로 fetch 이후의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로직을 구현하였습니다. + - 특히 중요한 401 code의 경우, 액세스 토큰이 만료되어 재발급이 필요할 때 받을 수 있는 status code입니다. + 이를 응답으로 받은 경우 액세스 토큰을 재발급받는 요청을 보낸 후, 정상적으로 요청을 돌려받으면 기존에 시도하고자 했던 요청을 새로 발급받은 액세스 토큰으로 다시 요청하여 사용자 입장에서 사용할 때 불편함 없이 자연스럽게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습니다. +- React-Query 라이브러리를 통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fetching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각 API 요청 과정에서 중복되는 코드가 상당히 많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 이는 가독성의 저하를 크게 불러오는 이슈를 발생시켰고, 따라서 먼저 각 요청에 따른 코드를 모두 작성한 후, 중복되는 코드를 각 코드에서 정리하여 하나의 함수로 분리하는 리팩토링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 + +각 status code에 따른 처리 방식 정리 + +useQuery/useMutation 리팩토링을 위한 공통 부분 추출 및 함수화 과정 + ## ⚒️ 기술 스택 | 분류 | 기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