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는 일반적으로 connectionless 방식으로 작동한다
- 서버에 연결하고, 요청해서 응답을 받으면 요청을 끊어버린다
- 기본적으로 자원 하나에 대해서 하나의 연결을 만든다
장점
-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에 적합하다
- 수십만명이 웹 서비스를 사용하더라도 접속 유지는 최소한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유저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단점
- 연결을 끊어버리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이전 상태를 알 수가 없다
- 이러한 특징을
Stateless 하다
라고 하는데, Connectionless 로부터 파생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 이러한 특징을
- 클라이언트의 이전 상태 정보를 알 수 없게되면, web service를 하는데 당장 문제가 생긴다
- ex) 클라이언트가 과거에 로그인을 성공했더라도 로그인 정보를 유지할 수 없다
- HTTP는 Cookie를 이용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 연결을 끊어버리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이전 상태를 알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