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20 lines (20 loc) · 1.58 KB

ip-domain.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20 lines (20 loc) · 1.58 KB

IP 와 도메인

  • IP
  •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흔히는 이 프로토콜에서 각 장치를 나타내는 IP 주소를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예) 115.68.24.88, 192.168.0.1
컴퓨터의 경우 사용하는 운영체제도 서로 다르고, 프로그램의 경우 아예 구현된 언어가 다르기 때문에 네트워크에서 이들이 통신할 수 있도록 하려면 공통된 통신 규약(프로토콜)이 필요하다.
프로토콜을 국제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한 ISO 위원회가 OSI 7계층모델을 발표한다.
TCP/IP가 사실상의 표준(de facto standard)이 되면서
OSI 7계층과 Internet Protocol Suite의 4계층이 나뉘어졌으며,
이 두 계층은 서로 비슷하기는 하나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IP는 OSI의 Layer 3(Network Layer)와 Internet Protocol Suite의
Layer 3(Internet Layer)에 위치하는 프로토콜이다.
  • 도메인
  • IP는 사람이 이해하고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 각 IP에 이름을 부여할 수 있게 했는데, 이것을 도메인이라고 한다.
    ex ) opentutorials.org -> 115.68.24.88
    ex ) naver.com -> 220.95.233.172
    ex ) daum.net -> 114.108.157.19

도메인 네임 시스템

  • 도메인 네임 시스템은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특정 컴퓨터의 주소를 찾기 위해,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숫자로 된 식별 번호로 변환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