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적 자료구조
- 정해놓은 크기만큼 연속된 메모리 주소를 할당받게 된다.
- 그렇기 때문에 인덱스를 가지고 있다.
- 인덱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임의 접근이 가능해서 접근과 탐색에 용이하다.
- 읽기, 쓰기와 같은 참조에는 O(1)의 성능을 가진다.
- 처음 배열을 선언할 때 배열의 크기를 예측하기 어려워 메모리 낭비가 쉽다.
- 데이터 삽입과 삭제가 비효율적이다.
- 상황에 따라 연속적, 불연속적으로 메모리를 할당하며 대부분 불연속적으로 할당한다.
- 불연속적으로 할당된 메모리는 내부적으로 연결해 배열인 것처럼 눈속임한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배열과 차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