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Bubblow/bubblow_server

Repository files navigation

🚀 버블로우 서버 초기 세팅

1. Docker 설치

2. PostgreSQL 설치

2-1.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 생성

  1. 터미널을 열고 PostgreSQL 서버에 접속한다:

    psql postgres
  2. bubblow_db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CREATE DATABASE bubblow_db;
  3.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사용자를 생성한다:

    CREATE USER bubblow WITH PASSWORD 'ewhain1886';
  4. 해당 사용자에게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모든 권한을 부여한다:

    GRANT ALL PRIVILEGES ON DATABASE bubblow_db TO bubblow;

프로젝트 구조

다음과 같은 디렉토리 구조를 만든다. 각각의 폴더를 생성한 후, 각 폴더 안에 클론을 받아야 하고 yml파일을 작성한다.

Bubblow/
├── Bubblow_client_
├── Bubblow_server_
└── docker-compose.yml
  1. Bubblow_client_ 폴더 안에 client를 클론한다.

    • clientdevelop 브랜치가 맞는지 확인한다.
  2. Bubblow_server_ 폴더 안에 server를 클론한다.

    • serverdocker 브랜치로 체크아웃한다. (서버는 develop 브랜치가 아니라 docker 브랜치에서 실행!)
  3. docker-compose.yml 파일을 생성하고 아래 코드를 추가한다:

version: '3.8'

services:
  db:
    image: postgres:13
    container_name: db
    environment:
      POSTGRES_USER: bubblow
      POSTGRES_PASSWORD: ewhain1886
      POSTGRES_DB: bubblow_db
    ports:
      - "5432:5432"
    volumes:
      - db_data:/var/lib/postgresql/data

  backend:
    build: ./Bubblow_server_
    container_name: backend
    volumes:
      - ./Bubblow_server_:/app
    ports:
      - "8000:8000"
    depends_on:
      - db
    environment:
      - DATABASE_URL=postgresql://bubblow:ewhain1886@db:5432/bubblow_db

  frontend:
    build:
      context: ./Bubblow_client_/clinet
      dockerfile: Dockerfile
    container_name: frontend
    ports:
      - "3000:3000"
    depends_on:
      - backend

volumes:
  db_data:

마지막으로 도커를 빌드하고 실행한다:

docker-compose up --build

About

버블로우의 웹 서버입니다.

Resources

Stars

Watchers

Forks

Releases

No releases published

Packages

No packages pu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