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RestfulAPI

자이구 edited this page Jul 11, 2022 · 1 revision

RESTful 원칙

  • 첫 번째, URI는 정보의 자원을 표현해야 한다.
  • 두 번째,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GET, POST, PUT, DELETE)로 표현한다.


요청상태

성공

상태코드  
200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정상적으로 수행함
201 클라이언트가 어떠한 리소스 생성을 요청, 해당 리소스가 성공적으로 생성됨(POST를 통한 리소스 생성 작업 시)

실패

상태코드  
400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부적절 할 경우 사용하는 응답 코드
401 클라이언트가 인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호된 리소스를 요청했을 때 사용하는 응답 코드
  (로그인 하지 않은 유저가 로그인 했을 때, 요청 가능한 리소스를 요청했을 때)
403 유저 인증상태와 관계 없이 응답하고 싶지 않은 리소스를 클라이언트가 요청했을 때 사용하는 응답 코드
  (403 보다는 400이나 404를 사용할 것을 권고. 403 자체가 리소스가 존재한다는 뜻이기 때문에)
405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에서는 사용 불가능한 Method를 이용했을 경우 사용하는 응답 코드

기타

상태코드  
301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에 대한 URI가 변경 되었을 때 사용하는 응답 코드
  (응답 시 Location header에 변경된 URI를 적어 줘야 합니다.)
500 서버에 문제가 있을 경우 사용하는 응답 코드

Ref. NHN CLOU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