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보관함을 어떻게하면 잘 쓸수있을까?" 라는 물음으로 시작한 프로젝트 입니다.
지하철 보관함을 기점으로 한 역에서 다른 역으로 택배를 이동시키는 서비스 입니다.
지하철 보관함을 기점으로 사람들이 택배를 맡길 수 있습니다.
맡겨진 택배를 지하철을 이용하는 불특정한 사용자들이 배달 비용을 받고 다른 역으로 옮깁니다.
옮겨진 택배를 수령자가 수형하는 형태의 서비스입니다.
- 보관할게요: 물건 보관
- 맡길게요: 택배 맡기기 서비스
- 옮길게요: 택배 옮기기 서비스
페이지의 자세한 설명은 프론트엔드 readme 파일 참조
![]() |
![]() |
![]() |
![]() |
![]() |
![]() |
![]() |
![]() |
![]() |
- Order
- 역에서 빈 보관함 갯수 조회 기능
- 특정 역의 보관함 상태리스트 조회 기능
- 택배 맡기는데 드는 비용 조회 기능
- 보관함 위치, 비밀번호 조회 기능
- 주문 등록 기능
- Delivery
- 배달 가능한 order 수 요청 기능
- 보관함 정보 list 반환 기능
- 택배 사이즈별 예상 수익 조회 기능
- 배달할 오더 정보조회 기능
- 배달 등록 기능
- 도착역 보관함 비밀번호 조회 기능
- 출발역 보관함 비밀번호 조회 기능
- Store
- 역에서 빈 보관함 갯수 조회 기능
- 특정 역의 보관함 상태리스트 조회 기능
- 보관함 사이별 비용 조회 기능
- 보관함 비밀번호 조회 기능
- 보관 등록 기능
- User
- 현재 진행중인 보관 메타 정보 조회 기능
- 보관 정보 조회 기능
- 이용 내역 메타 정보 조회 기능
- 데이터는 날짜순서로 정렬됨
- 이용 내역 전체 정보 조회 기능
https://postrofit.gitbook.io/postrofit-api-docs/reference/api-reference
Eureka Discovery - client 구조를 기반으로 개발하였습니다.
Client 중 하나를 Api-gateway로써 역할을 부여하고 모든 요청이 api-gateway를 통과하여 요청하게 하였습니다. (로드밸런싱도 수행)
Client는 현재 Backend-service 하나 밖에 없지만 상항에 맞추어 역할을 분리해나갈 예정입니다.
역할이 분리된다면 서버간의 통신을 Zookeeper-Kafka를 통한 이벤트 스트림으로 처리할 예정입니다.
현재는 데모버전을 개발중이기 때문에 서버가 뜨면 테스트 데이터가 메모리 디비에 저장이 됩니다. 따라서 서버간의 데이터가 다를 수 있습니다.